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넷플릭스 대반전: 극장서 저조했던 '보고타', 글로벌 1위 석권

by 어메이징스팟 2025. 2. 16.

2024년 12월 31일 개봉한 영화 '보고타: 마지막 기회의 땅'이 극장에서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넷플릭스에서 공개된 후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며 비영어권 영화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이와 같은 극단적인 성적 차이는 영화 산업의 새로운 유통 전략과 관객의 콘텐츠 소비 방식 변화를 보여준다. '보고타'는 어떻게 극장에서 실패하고도 넷플릭스에서 성공할 수 있었을까?

 

보고타

'보고타'의 극장과 넷플릭스에서의 상반된 성과

극장 개봉 실패, 이유는?

'보고타'는 2024년 연말 극장에서 개봉했지만, 최종 관객 수는 42만 명에 그쳤다. 이는 기대 이하의 성적으로, 흥행 참패에 가까웠다. 개봉 당시 영화 팬들과 업계 관계자들은 몇 가지 주요 이유를 꼽았다.

  1. 홍보 부족과 마케팅 전략 미흡: 블록버스터 영화들과 경쟁해야 했지만, 대대적인 마케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2. 장르적 한계: 범죄 스릴러 장르가 국내에서는 특정 관객층에 국한되어 있어 대중적인 흥행이 어려웠다.
  3. 연말 극장가 경쟁 심화: '베테랑 2' 등 강력한 경쟁작들이 같은 시기에 개봉하며 상대적으로 주목도가 낮아졌다.
  4. OTT 선호 경향 증가: 점점 더 많은 관객이 영화관 대신 OTT 플랫폼에서 영화를 소비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넷플릭스에서 반전, 글로벌 흥행 원인은?

'보고타'는 극장에서 실패한 후, 2025년 2월 4일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되었다. 이후 불과 며칠 만에 비영어권 영화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다. 특히 콜롬비아를 포함한 10개국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73개국에서 넷플릭스 TOP 10에 올랐다. 넷플릭스에서의 성공을 이끈 핵심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전략적 넷플릭스 계약: 개봉 전부터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로 계약이 이루어져 해외에서 넷플릭스 전용 콘텐츠로 홍보됨.
  2. 다국어 자막 및 더빙 지원: 33개 언어로 제공되어 글로벌 관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
  3. 장르적 적합성: 범죄 스릴러 장르는 OTT에서 강세를 보이는 장르로, 몰입감 있는 콘텐츠를 선호하는 시청자들에게 적중함.
  4. OTT 플랫폼의 강력한 알고리즘 추천: 넷플릭스 추천 알고리즘이 유사 장르의 시청자들에게 영화를 효과적으로 노출시킴.

 

넷플릭스 계약과 글로벌 마케팅 전략의 중요성

'베테랑 2'와 '보고타'의 차이점

비슷한 시기에 개봉한 '베테랑 2'와 비교했을 때, '보고타'의 글로벌 성공 요인은 더욱 두드러진다. '베테랑 2'는 극장 성적이 우수했지만, 넷플릭스에서는 글로벌 흥행을 하지 못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1. OTT 계약의 유무: '보고타'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계약으로 전 세계 동시 공개된 반면, '베테랑 2'는 특정 지역에서만 스트리밍 가능.
  2. 다국어 지원 차이: '보고타'는 33개 언어를 지원했지만, '베테랑 2'는 한국어와 영어만 제공됨.
  3. 글로벌 마케팅 차이: '보고타'는 넷플릭스 내에서 자체 홍보가 강화되었으나, '베테랑 2'는 국내 중심 마케팅이 이루어짐.

이처럼 OTT 계약 여부와 다국어 지원이 글로벌 흥행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영화 산업의 유통 전략 변화

최근 영화 업계에서는 기존 극장 개봉 후 일정 기간이 지나야 다른 플랫폼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홀드백(Holdback) 정책'에 대한 논란이 있다. '보고타' 사례를 통해 다음과 같은 변화가 감지된다.

  1. 극장-OTT 동시 개봉 증가: 극장 개봉 후 곧바로 OTT에서 공개되는 사례가 늘어나며, 플랫폼별 최적화된 유통 전략이 필요해짐.
  2. OTT 계약을 통한 리스크 관리: 흥행 실패 시에도 OTT에서의 성공을 통해 손익분기점을 맞출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짐.
  3. 홀드백 정책 재검토 필요성: 영화사와 극장 간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유연한 개봉 전략이 중요해짐.

 

결론: 영화 유통의 다변화와 관객 선택권 확대

'보고타'의 성공 사례는 영화 유통 방식의 변화와 관객의 콘텐츠 소비 방식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OTT 플랫폼과의 협업을 통해 콘텐츠가 더욱 다양한 방식으로 유통될 수 있으며, 관객들도 원하는 방식으로 영화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영화 제작사와 배급사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며, 더 나아가 극장과 OTT 플랫폼 간의 협력 모델을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앞으로 영화 산업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유연한 유통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